TECHNICAL UV




지하수(식품용수) 소독 및 정수처리 요령
본 요령에 제시된 방법은 노로바이러스를 포함한 병원성 미생물로부터 
식품용수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이며, 노로바이러스의 경우 
완전한 사멸 또는 제거를 단정할 수 없으므로 지속적인 시설관리가 필요합니다.


  1. 노로바이러스 적정 소독방법

소독방법설치비용(만원)조건(노로바이러스 99%소독)
처리량노출시간세부조건1세부조건2
85℃1분 이상
염소2500.5ppm1분 이상20℃
오존5601.0ppm3분 이상5℃
자외선15019.5mJ/cm23분 이상24℃254nm, UV-C램프 15cm 
높이로 물 1L 처리기준
    오존, 자외선의 경우 흐르는 물에 사용 시 상기 소독 요건을 충족하기 어려움이 있습니다.
    평균 지하수 온도 ; 18.9±0.08℃

  2.염소소독 요령
  【고체염소제를 이용한 염소소독법】
     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염소알약(클로로칼키, Calcium Hypochlorite) 사용 됩니다.
       - 1알에 15~20g으로 박스단위로 포장되어 있으며, 화학약품판매상에서 구매가능 합니다.
    · 시가 60,000~70,000원/5kg 정도(2024년도 기준)
     물탱크 내 잔류염소가 0.5ppm 이상이 되도록 기준염소량을 정하고 계산된 클로로칼키 사용량을 물탱크에 투입합니다.
사용량(kg)1)
방류수량(톤)2) X 기준염소량(ppm)3) X 100
70(유효염소량(%))4) X 1000

    ①사용량(kg) : 사용해야 되는 염소알약의 무게
    ②방류수량(톤) : 1일 물사용량(톤으로 환산)
    ③기준염소량(ppm) : 원하는 잔류염소 농도
    ④유효염소량(%) : 염소알약에 표시된 염소함량(보통 70%)
    · 단, 원수 수질(유기물 농도 등) 및 염소요구량 등에 따라 잔류염소 농도 조정 필요 합니다.
       - 고체염소의 투입은 자동염소투입기를 사용할 수 있으나, 알약이 투입구에 막히는 등 고장이 잦아 상시 점검 필요 노로바이러스 검출 시 또는 주변에 식중독 
           발생시에는 노로바이러스를 재검사하여 검출되지 않거나 주변에 식중독이 소멸될 때까지 기준염소 농도를 1~2ppm까지 높여서 처리 합니다.
    · 잔류염소가 0.5ppm을 넘으면 물에서 냄새가 날 수 있으며, 1ppm 이상의 경우 물탱크 주변에서 심한 냄새가 날 수 있으므로 환기 후 출입 합니다.
  【액체염소를 이용한 염소소독법】
   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액체염소(차아염소산 나트륨, NaOCl) 사용되며 5%-20ℓ와 12%-20ℓ 두 종류가 가 있습니다.
       - 5%-20ℓ와 12%-20ℓ 두 종류가 있으며, 화학약품판매상에서 구매가능 합니다.
      
    액체염소는 사람에 의한 수동 투입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자동염소투입기를 설치합니다.
    · 10~100톤 용량 물탱크의 액체염소 반자동투입기 : 약 300~500만원, 완전자동투입기 : 1천만원 이상 물탱크 내 잔류염소가 0.5ppm 이상이 되도록 
          액체염소 투입량을 정하여 자동투입 조절기 설정합니다.
    · 단, 원수 수질(유기물 농도 등) 및 염소요구량 등에 따라 잔류염소 농도 조정이 필요 하며, 노로바이러스 검출 시 또는 주변에 식중독 발생 시에는 노로바이러스
       를 재검사하여 검출되지 않거나 주변에 식중독이 소멸될 때까지 기준염소 농도를 1.5ppm까지 높여서 처리합니다.
    · 잔류염소가 0.5ppm을 넘으면 물에서 냄새가 날 수 있으며, 1ppm 이상의 경우 물탱크 주변에서 심한 냄새가 날 수 있으므로 환기 후 출입토록합니다.

  3. 오존 소독
    시중에서 판매중인 오존 발생 장치를 사용 합니다.
       - 주입오존농도는 0.5~2mg/L이 적당하며 최종 유출수의 오존 잔류농도가 0.04mg/L을 넘지 않도록 조절하고, 노로바이러스 등 병원성 미생물을 제거하기 
       위해서는 접촉시간 20분 이상, 2mg/L 이상의 오존 주입이 필요합니다.
    · 오존 접촉조 유출수에 상당수 높은 오존이 잔류하여 탈기될 경우 인체에 해로우므로 관리 주의해야 하며 지하수 원수 수질과 지하수 사용량에 따라 오존 
       주입농도가 달라지므로, 정기적인 수질검사를 실시합니다.(pH, 탁도, 잔류염소, 일반세균, 총대장균군, 분원성대장균군 등 분석)
    · 브로마이드가 함유된 원수를 오존으로 처리할 경우 발암물질인 브로메이트(BrO3)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pH를 6.5~7 미만으로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  4. 자외선 소독
    파장이 253.7 nm인 자외선 램프를 사용하여 소독
    · 자외선이 박테리아나 바이러스의 핵산에 흡수되어 RNA 기능 상실 및 DNA를 손상시켜 살균하는 방법이고, 자외선 소독장치를 이용하여 소독하는 경우 
       자외선 강도가 중요함으로『자외선 강도 측정 장치』가 필요합니다.
    자외선 램프 선정
       - 자외선 램프 종류에는 저압/저출력 램프, 저압/고출력 램프, 중압/고출력 램프 중 선택
       - 5~60℃의 온도범위에서 고강도 자외선을 안정적으로 방사시킬 수 있는 저압램프(UV-C 영역)를 많이 사용
  자외선 소독 고려사항
       - 미생물의 민감도, 조사량과 관련된 투과도, 조도, 노출시간 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소독 전 시료에 존재하는 휴믹산, 펄빅산 그리고 다른 방향족 유기물, 
       금속, 음이온성 등을 제거하는 것이 필요.
       - 자외선 강도, 유속, 램프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.
       - 적정한 반응기의 유입과 유출부의 배관과 채널 구조를 확인.
    지하소 원수의 수질과 지하수 사용량에 따라 처리효율이 달라지므로 정기적인 수질검사를 실시(pH, 탁도, 잔류염소, 일반세균, 총대장균군, 분원성대장균군 
    등 분석)
    · 지하수에서 자외선 조사량에 의해 HAAs 등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(염소 소독을 실시한 경우) 주의하며, 사전에 지하수를 여과 한 후에 도입하는 것이 가장 
      효과적입니다.

  5. 정수처리 요령
  【모래여과기 및 활성탄여과기 등을 이용한 정수처리법】
    정수장 급속여과기에 사용되는 모래를 사용되며, 모래여과에 의한 바이러스 제거율은 90~99% 정도로, 전단에 활성탄을 부착하면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.
    모래여과기 규격은 물 사용량에 따라 다르므로 설비업체의 의견을 구해 설치하고. 물탱크 전단에 활성탄여과기 및 모래여과기를 설치하고 물탱크에 염소소독
    장치를 설치하면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.

  【막여과를 이용한 정수처리법】
    물탱크의 용량이 적거나 물탱크가 없는 경우 또는 염소처리가 어려운 경우, 막여과 장치를 설치하여 노로바이러스를 어느 정도 제거 가능합니다.
    · 염소소독 장치에 비해 초기 설치비 및 유지관리비가 고가이고 막여과 시설은 정수처리 시설 전문업체에 의뢰하여 제작 가능합니다.
      - 막여과 장치는 원수 물탱크와 정수 물탱크 중간에 설치
      - 막여과 장치의 전단에 활성탄 여과기를 장착하고 후단에 자외선 살균기를 장착하면 노로바이러스 제거      율을 높일 수 있음
    · 일일 사용량과 물탱크 용량 등에 따라 설치비 다름
     정수처리기준은 음용수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바이러스를 99.99% 제거하도록 정하고 있으나, 막여과에     의한 바이러스 제거는 90~99.9% 가능함
      -막여과 중 역삼투방식은 바이러스 및 영양물질의 제거효율이 가장 높음
    막여과 장치의 효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막에 걸리는 압력의 변화를 체크하여야 하며, 막이 찢어지는 등 손상되면 더 오염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유지보수가
    매우 중요하고, 안전성의 최대 확보를 위해 막여과 후 정수된 물탱크에 염소투입기 또는 오존처리기를 설치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.

[참고자료] 노로바이러스 검사기관
< 식품용수 >
연번
기관명
소재지
연락처
검사여부
채수장비
검사건수/년
1
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
충북 청원 강외면 연제리 643
043-719-4307
가능
4set
31
2
서울지방식약청
서울 양천 목동 900-12
02-2640-1457
가능
4set
156
3
부산지방식약청
부산 부산진구 자유평화로 11
051-610-6126
가능
4set
225
4
경인지방식약청
인천 남구 주안1동 120
032-450-3237
가능
4set
225
5
대구지방식약청
대구 달서구 이곡동 1220-9
053-589-2780
가능
4set
148
6
광주지방식약청
광주 북구 오룡동 1110-5
062-602-1510
가능
4set
137
7
대전지방식약청
대전 서구 둔산2동 935
042-480-3870
가능
4set
150
8
서울보건환경연구원
경기 과천 용머리2길 18
02-570-3429
11.7월이후
-
-
9
부산보건환경연구원
부산 수영 광안4동 1276-1
051-757-6936
가능
2set
7
10
대구보건환경연구원
대구 수성구 지산1동 771
053-760-1225
가능
2set
5
11
인천보건환경연구원
인천 중구 신흥동2가 22-4
032-440-5439
가능
3set
56
12
광주보건환경연구원
광주 서구 화정동 898
062-613-7543
가능
1set
15
13
대전보건환경연구원
대전 유성 구성동 21-1
042-870-3382
가능
2set
10
14
울산보건환경연구원
울산 남구 옥동 832
052-229-5225
가능
2set
4
15
경기보건환경연구원
경기 수원 장안 파장동 324-1
031-250-2552
가능
2set
60
16
강원보건환경연구원
강원 춘천 신북읍 산천리 728
033-248-6417
가능
1set
20
17
충북보건환경연구원
충북 청원 강외면 연제리 676
043-220-5924
11.7월이후
-
20
18
충남보건환경연구원
충남 홍성 금마면 송강리 52-1
042-620-1637
가능
2set
50
19
전북보건환경연구원
전북 임실군 임실면 성가리 55
063-290-5284
가능
2set
50
20
전남보건환경연구원
광주 서구 농성1동 291-1
062-360-5438
가능
2set
150
21
경북보건환경연구원
대구 북구 산격동 1449-1
054-339-8241
가능
2set
10
22
경남보건환경연구원
경남 창원 의창구 사림동 133-1
055-211-1454
가능
2set
52
23
제주보건환경연구원
제주 제주시 연동 312-1
064-710-7512
가능
2set
20

< 식품위생검사기관 >
연번
기관명
소재지
연락처
검사여부
비용*
채수장비
1
CJ프레시웨이(주)
경기 이천 마장면 덕평리 508-2
031-776-5640
가능
110만원
3set
2
(주)아워홈 식품연구원
경기 성남 중원구 상대원동 5444-1 1층
031-778-2979
가능
88만원
4set
3
(주)푸드머스 식재안전센터
경기 용인 처인구 원삼면 맹리 578-1
031-330-2451
가능
83만원
2set
*거리에 따라 출장비가 별도 청구될 수 있음
 
< 지하수-환경부 소속 조사기관 >
연번
기관명
소재지
연락처
검사여부
비용
채수장비
1
국립환경과학원
인천 서구 난지로 184
032-560-7545
가능
 
 
2
서울시상수도연구원
서울 광진구 천호대로 552-1
02-3416-1789
가능
120만원
2set
3
부산시수질연구소
부산시 사상구 덕포2동 430
055-323-4718
가능
120만원
2set
4
대구시수질연구소
대구 달서구 두류3동 706-3
053-654-3453
가능
120만원
2set
5
경희대 지구환경연구소
서울 동대문구 회귀동 1
02-762-0271
가능
120만원
2set
6
건국대 수의과학연구소
서울 광진구 화양동
02-3437-1940
가능
120만원
2set
7
부산대 미생물자원연구소
부산 금정구 장전동 산30
051-510-2178
가능
120만원
2set